문화
[스크랩] 상단부-보/도리/처마(서까래/부연)
진가
2009. 8. 9. 17:38
1. 보
건축물 뒷면의 기둥 위와 앞면의 기둥 위를 연결하는 부재.
즉, 용마루 선과는 직각을 이룸.
정면에서 보앗을 때 정면 뒤에서 정면 쪽을 향하고 있는 상단 부재.
대들보(大樑), 종보(宗樑)
2. 도리(道里)
건물 상단부에 있는 대들보의 위쪽에 위치
도리는 대들보와 직각방면으로 놓여 있는 긴 부재.
즉, 건물의 정면에서 볼때 좌우로 길게 걸쳐 있는 것.
- 종도리(宗~) : 맨 위쪽 한 가운데
- 중도리(中~) : 중간 부분을 받치는 것
- 내목도리(內目~) : 기둥 안쪽을 받치는 것
* 주심포식에는 내목도리가 없고, 다포식에는 내목도리가 있다.
- 주심도리(柱心~) : 기둥 바로 위에서 서까래를 받는 것
- 외목도리(外目~) : 기둥 바깥쪽에서 받치는 것
* 주심포 건물 - 내목도리가 없다.
3. 서까래와 부연
- 도리 위에 직각으로 올라가는 작은 원통형(또는 사각형) 목재
지붕을 구성하는 목재.
- 서까래만 가지고는 처마를 깊게 빼는데 한계가 있어서
짧은 서까래 끝에 부연이라는 사각형 단면의 짧은 서까래를 덧달아 냄.
* 겹처마 : 부연이 걸린 처마
홑처마 : 부연이 없는 처마
<종합--복습해 보세요^_*>
출처 : 미추홀불교대학●
글쓴이 : 慈光/이기영 원글보기
메모 :